전립선의 안드로겐수용체란?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전립선의 안드로겐수용체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전립선비대증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의 안드로겐수용체란?
N-말단영역에는 GAG 반복서열이 나타나는데,
이 서열의 길이가 안드로겐수용체의 활성과 반비례한다.
서열의 길이가 짧을수록
안드로겐수용체의 활성도가 커지므로
전립선암의 위험도가 높아진다.
실제로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인종인
흑인은 글루타민 반복서열의 길이가
평균 18 정도이고 백인은 21,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가장 낮은 황인은
평균 23 정도이다.
안드로겐수용체는
평소 heat shock protein 90,
heat shock protein 70, Hip, p60, p23, FKBP51,
FKBP52, Cyp40의 8S 복합체와 결합하여
비활성상태로 있다가 안드로겐이
연결물질결합영역에 결합하면 3차원 구조가 바뀌고
heat shock protein은 떨어져 나간다.
이후 안드로겐수용체는
S31, S94, S650의 세 곳에서 인산화하는데
이 중 S650 부위가
안드로겐수용체 전사 활성화에 필요하다.
언제나 편안하게 진료받을수있도록 최선을다하는
인덕원사거리 6번출구에 위치한 코넬 비뇨기과 인덕원점입니다.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488-39 창덕에버빌 201호
(도로명)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악대로 488
031-425-7080
'남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립선의 아연이란?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0) | 2019.07.17 |
---|---|
세포고사와 전립선이란?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0) | 2019.07.16 |
전립선의 안드로겐수용체란?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0) | 2019.07.15 |
전립선의 세포부착물질이란?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0) | 2019.07.15 |
전립선의 선장억제인자란?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전립선비대증은 코넬비뇨기과에서 받으세요! (0) | 201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