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염이란?
문자 그대로의 해석은 전립선에 염증이 생기는 병을 전립선염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의사들 사이에서도 서로 사용하는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병리학자들은 현미경으로 백혈구나 임파구가 전립선조직내에서 관찰될 때에 전립선염이라 합니다. 전립선염 환자들을 진료하고 치료하는 비뇨기과 의사들은 전립선 액에서 백혈구가 400배의 고배율의 현미경으로 백혈구가 10개 이상, 비정상적으로 관찰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보다 폭 넓은 의미로는 백혈구가 증가하지 않아도 만성 전립선염에서 흔히 관찰되는 회음부 통증과 같은 전립선증상을 호소하면 전립선염으로 진단하기도 합니다 .
불임학적으로는 전립선액이 1/4-1/3정도 차지하는 정액안에 백혈구가 증가되었을 때에 전립선염이라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발병원인을 지금까지 완전히 알지못하고 체계적인 분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립선염을 "임상적인 무식함의 쓰레기통" 이라는 말을 하는데 이는 전립선염의 정확한 원인과 치료를 알지못하는 의료현실을 적절하게 잘 표현한 것입니다. "전립선 질환들 중에서 검은 s양" 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는 만성 전립선염 환자의 특성과 비뇨기과 의사의 정신적 고통을 잘 표현한 말이죠. 전립선염에 관하여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는 모든 나라의 비뇨기과 의사들에서 공통적입니다. 그중 미국에서 국립보건원(NIH)후원으로 전립선염에 관하여 1995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출처: 대한전립선학회
코넬피부비뇨기과 인덕원점 원장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488-39 창덕에버빌 201호
(인덕원역 6번 출구)
031-425-7080
'남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립선이 뭐에요?| (0) | 2015.07.14 |
---|---|
청장년층에 흔한 전립선염 (0) | 2015.05.03 |
전립선에 좋은 음식 (0) | 2015.03.27 |
성기능 장애 (0) | 2015.03.27 |
남성호르몬이 부족할때 나타나는 증상 (0) | 2015.03.14 |